
intellij로 개발을 하다보면 가끔 이런 에러가 나타나곤 한다.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이 에러가 나는 이유는 서버를 구동하려고 하는데, 해당 서버가 사용하려고 하는 port를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서버를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종료하거나 종료가 된 경우 발생하는 문제이다. 해결방법 강제로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죽이거나, 포트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나는 주로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cmd창을 켜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netstat -ano | findstr 8080 그러면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intellij로 개발을 하다보면 가끔 이런 에러가 나타나곤 한다.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이 에러가 나는 이유는 서버를 구동하려고 하는데, 해당 서버가 사용하려고 하는 port를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서버를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종료하거나 종료가 된 경우 발생하는 문제이다. 해결방법 강제로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죽이거나, 포트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나는 주로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cmd창을 켜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netstat -ano | findstr 8080 그러면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팔로우 기능과 마찬가지로 게시물 좋아요도 유저와 M:N 즉 다대다 매핑이 된다. 한 게시물은 여러 명의 유저들로부터 좋아요를 받을 수 있고, 한 유저는 여러개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데이터 모델링부터 해보자면 이런 식으로 구성되도록 만들었다. post_like라는 중개테이블을 만들어서 post 테이블과 users 테이블을 각각 M:1로 연결하였다. 중개테이블인 PostLikeEntity 에서 @ManyToOne으로 UserEntity와 PostEntity를 연결해준 후, 다대일 양방향 매핑을 위해서 UserEntity와 PostEntity 각각 @OneToMany mappedBy를 통해 연결해주었다. 이로써 다대일 양방향 매핑이 맺어졌다. 다음으로 좋아요 기능을 구현해보자. ..

팔로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대다 매핑을 맺어줘야 한다. 한 명의 유저는 여러명의 유저를 팔로우 할 수 있고, 또한 여러명의 유저로부터 팔로우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M:N 관계가 된다. 이 부분을 JPA에서는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보자.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ManyToMany 2. @ManyToOne && @OneToMany 이번에는 2번째 방법으로 구현해보려고 한다. 우선 결과부터 보여주면, 테이블 관계는 다음과 같다. 중개테이블을 따로 followingsEntity로 만들어주었고, User와 각각 M:1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ManyToOne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엔티티를 연결한다. 팔로우는 유저와 유저와의 다대다 관계이기 때문에 둘 다 UserEnt..

간혹 Intellij에서 코딩을 하는데, 분명 틀린게 없는데 계속 빨간색이 뜰 때가 있다(많다 🤯) 그때마다 뭐가 잘못된걸까... 코드 맞는데,,, 맞왜에러,,, 하면서 몇시간을 그냥 보내게 되는데, 코드상의 문제가 분명 있을 수 있지만 해당 과정을 한번 해보고! 다시 코드를 의심해보면 좋을 것 같다. 먼저 인텔리제이에서 File을 클릭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뜰텐데, 여기서 Invalidate Caches를 클릭한다. 그러면 해당 창이 뜰 텐데 Invalidate and Restart 버튼을 클릭해준다. 쌓여있는 캐시들을 삭제하고 재시작해주는 기능이다. 이것만 해줘도 다양한 에러들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으니 코드의심전에 lego! 💨 (물론 재시작하는 것이므로 밑에 빌드상태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

intellij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연습하는데, controller 자동완성이 계속 안되길래, https://spring.io/guides/gs/serving-web-content/ 페이지에서 해당 예제 코드를 복붙했을때 package com.example.servingwebconten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Controller public class ..
- Total
- Today
- Yesterday
- Network
- 5397
- 브루트포스
- 알고리즘
- 운영체제
- OS
- 인텔리제이
- 코테
-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 BFS
- intellij
- DP
- cs공부
- IPv4
- 백준
- 파이썬
- 4계층
- 동적프로그래밍
- 소셜로그인
- SQL
- dfs
- Python
- 다대다매핑
- C++
- SQLD
- 코딩테스트
- 완전탐색
- cs
- allaut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