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를 알아보자 🤗 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의 할당을 받을 수 있는 것 운영체제로부터 주소공간, 파일, 메모리 등을 할당받음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 하고 있는 운영체제의 자료구조 프로세스는 CPU를 할당받아서 작업을 처리하다가도 프로세스 전환이 발생하면, 진행하던 작업을 저장하고 CPU를 반환하게 되는데, 이 때 작업 진행 상황을 PCB에 저장한다. (다시 CPU를 할당받게 되면 PCB에 저장되어있던 내용을 불러와서 종료됐던 시점부터 작업 수행) PCB에 저장되는 정보 PID state(new, ready, running, waiting, terminated 등) 프로그램 카..
🤓HTTP란?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프로토콜: 컴퓨터 내부 or 컴퓨터 상에서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 HTTP 문제점 HTTP는 평문 통신이기 때문에 중간에서 도청이 가능하다. 통신 자체를 암호화(SSL or TLS) 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조합함으로써 HTTP 통신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 콘텐츠를 암호화 말 그대로 HTTP를 사용해서 운반하는 내용인 콘첸츠만 암호화하는 것이다. 암호화해서 전송하면 받은 측에서는 그 암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TCP/IP 구조의 통신은 모두 통신 경로 상에서 엿볼 수 있다. 패킷을 수집하는 것만으로 도청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하여 통신해야 한다.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ZRsU/btrazM6ISQc/f3rXyNj2VTM0Nz0UwK1SWk/img.png)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할 때 사용되는 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이 무엇이고, 어떻게 통신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ARP 프로토콜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할 때 필요한 것은 MAC주소 ip주소를 입력했을 때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보게 되는데, 이 때 AR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AC주소를 알아온다. ARP 통신 과정(ARP 프로토콜로 상대방 MAC 주소 알아오기) 같은 네트워크(LAN) 대역 안에 A컴퓨터와 C컴퓨터가 있다고 하자. A는 C의 IP주소만 알고 MAC 주소는 모르는 상태이다. A는 ARP프로토콜에 본인 MAC주소 + 본인 IP주소 + C컴퓨터 MAC주소(모르니까 다 0처리) + C IP주소를 포함한다. -> 이더넷 프로토콜로 인캡슐레이션한다. -> 목적지를 FFFFFF..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Zn5n/btrfPXWhBbe/Y09MX74sJr1Ci6FzlSKakk/img.jpg)
오늘은 네트워크 계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자🤗 OSI 7계층 OSI 7계층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3.1]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여러 프로토콜로 캡슐화 되어있다. [3.2] 데이터 전송(캡슐화) 특정 프로토콜이 필요할 경우 현재 패킷에 새로운 프로토콜을 붙여주어서 캡슐화를 진행한 후 패킷을 전송한다. 붙는 프로토콜은 OSI7계층 순서 를 따른다. (하위계층이 먼저 붙는 경우는 없음!) [3.3] 데이터 수신(디캡슐화) 패킷을 받았을 때 프로토콜들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PwV9/btrfUNyleHr/ALIyEbs6ysuALB94HNecx1/img.png)
[1.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요? 노드(컴퓨터)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의 하나이다. www(World Wide Web) != 인터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한다. [1.2] 네트워크 분류 [1.2.1] 크기에 따른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먼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여러개의 LAN을 연결시켜놓은 것이라고 생각해도 무방) [1.2.2]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STAR형: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 가운데에 있는 네트워크 장비(ex 공유기)가 고장난다면 주변 장비는 모두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파이썬
- DP
- IPv4
- 5397
- 코딩테스트
- dfs
- 완전탐색
- 운영체제
- 다대다매핑
- Network
- SQLD
- BFS
- Python
- 인텔리제이
- 알고리즘
- 4계층
- 소셜로그인
- cs
- cs공부
- OS
- SQL
- 네트워크
- intellij
- 코테
- 백준
- 동적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
- allauth
- 브루트포스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