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S 공부/네트워크

[네트워크] IP 주소

개발미정 2021. 7. 27. 17:09

 

컴퓨터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하다.

오늘은 IP주소가 무엇이고, 컴퓨터끼리 어떻게 통신하는지 알아보자🤗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

네트워크 계층 종류

  • IP
  • ICMP
  • ARP
  • RARP

3계층의 기능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한다.

 

  • IPv4 주소: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네트워크 대역을 어디서부터 규정할건지?)
    •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
    •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음
      • ex)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 게이트웨이 주소: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일반적인 IP 주소

ClassFulless IP 주소

-> 문제점: 20대의 pc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서브넷 마스크를 구할 때, 16보단 커야하므로 32(00000)으로 설정이 될텐데, 그러면 10대이상의 낭비가 발생한다.

-> 사설 IP, 공인 IP

->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장비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무조건 공인IP로 바꿔서 통신한다.(NAT)

-> 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IP로만 통신하기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 대역에서는 사설IP 대역이 보이지 않는다.

-> 사설IP 패킷이 보내질 때 NAT 테이블에 IP가 기록된다.

-> 즉 패킷을 보내지 않았다면 바깥에서 해당 서버를 찾는 요청이 들어와도 공유기는 그 요청을 무시하게 된다.

-> 때문에 보통 서버들은 사설IP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특수한 IP주소

0.0.0.0/0

존재하는 IP들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IP

127.0.0.1

자기 자신을 뜻하는 주소

게이트웨이

나가는 곳의 IP(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IP)

 

'CS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  (0) 2021.07.27
[네트워크] ARP 프로토콜  (0) 2021.07.27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0) 2021.07.27
[네트워크] GET과 POST의 차이  (0) 2021.07.22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0) 2021.07.2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